목록암호학 (2)
저장소

Chapter6에서는 인수분해의 계산 난이도에 기반한 공개키 암호체계에 대해 배웠다. 지금까지 알아본 이산로그의 계산 난이도를 활용한 보안 시스템 설계도 물론 가능하다. Alice가 Bob에게 메시지 m을 보내고 싶어한다고 가정하자. 가장 먼저 Bob은 큰 소수 p와 원시근 a를 선택한다. (0
IT/암호학·블록체인
2021. 8. 27. 16:42
[암호학] 7.4 Diffie-Hellman Key Exchange
암호화에서 중요한 문제는 두 사람이 DES, AES와 같은 암호화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키를 선정하는 기준이다. 이 챕터에서는 기본적인 Diffie-Hellman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이산 로그 계산의 어려움과 보안의 밀접한 관계를 설명한다. 모든 통신이 공개된 channel을 통해 이루어 진다 할 때, Alice와 Bob이 공통의 비밀키 K를 설정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Alice 혹은 Bob이 안전하고 큰 수의 소수 p와 원시근 a (mod p)를 선택한다. (이때 p, a 모두 공개 가능) Alice는 1
IT/암호학·블록체인
2021. 8. 27. 15:20